의열단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 의열단
    • 의열단
    • 의열단원
    • 발자취
    • 조선의용대
  • 추진위원회
    • 인사말
    • 소개
  • 기념사업
    • 기념
    • 교육
    • 문화
    • 캠페인
  • 소식
    • 공지사항
    • 이 주의 의열단원
    • 보도자료
    • 사진첩
    • 동영상
  • 후원
  • Menu

의열단

  • 의열단
  • 추진위원회
  • 기념사업
  • 소식
  • 후원

조선의용대

  • 의열단
  • 의열단원
  • 발자취
  • 조선의용대


조선의용대 창설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영어: Korean Volunteers Army) 또는 조선항일의용대(朝鮮抗日義勇隊) 혹은 국제여단(國際旅團)은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 성 한커우(漢口)에서 결성된 독립군이다. 조선민족전위동맹 산하의 단체로 분류된다.

1938년 일본군이 난징을 함락한 뒤 우한삼진[武漢三鎭]을 공략목표로 삼아 쉬저우대회전[徐州大會戰]을 전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7월에 청쯔현[成子縣]의 조선독립군이 후베이성[湖北省]·장링[江陵]으로 이동하여 훈련을 마친 뒤 한커우[漢口]로 들어왔다. 이때 일본군의 우한삼진의 함락이 눈앞에 다다랐으며, 중국군이 필사적으로 항전하였으나 패전하였다. 이에 중국 당국과 조선청년들이 협의하여 의용대를 구성하여 참전할 것을 선언하였다.
초기 구성원은 총대장 김원봉(金元鳳), 부대장 신악(申岳), 정치조(政治組) 김학무(金學武), 조원(組員) 이달(李達), 선전대장 김창제(金昌濟), 총무대장 이집중(李集中), 서무주임 이해명(李海鳴), 외교주임 한지성(韓志成) 등 200명이었다.


조선의용대 연보

○ 1938년 10월 10일, 중국군이 필사적으로 항전하였으나 패전하였다. 이에 중국 당국과 조선청년들이 협의하여 의용대를 구성하여 참전할 것을 선언하였다. 초기 구성원은 총대장 김원봉(金元鳳) 등 200명이었다.
○ 1940년 2월에는 314명에 이르렀다.
○ 1940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한국광복군(이하, 광복군)이 창군되자, 이에 참가하는 자가 생기고 일부 이탈자가 발생하였다.
○ 1941년 5월에는 81명으로 줄어들었다.
○ 1942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8차 국무회의에서 광복군에 편입할 것을 결의하였다.
○ 1942년 5월 제30차 국무회의에서 광복군에 부사령직의 증설에 따라 의용대 총대장 김원봉이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하고, 의용대는 5월 18일자로 광복군 제1지대에 편입되었다. 이를 계기로 광복군은 3지대로 증강되었다. 광복군 제1지대는 부사령관 김원봉이 지대장을 겸임하고, 총무조장 이집중, 제1구대장 이소민(李蘇民), 제3구 대장 박효삼이 임명되었다. 이로써 조선의용대는 공식 해체하였다.
○ 1942년 7월 박효삼·이익성(利益成, 제3구대 부구대장)·이지강(李志剛, 제2지구대 서기)·문정일(文正一, 제2구대 제3분대장)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는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조선의용대 창립사진 (1938년)

조선의용대 창립1주년 (1939년)

조선의용대 휘장

중국 국민당 소속 조선의용대 여성단원

조선의용대 성립 2주년 기념식

조선의용대 선전활동

중국 국민당의 조선의용대 환영식

조선의용대 창건 기사

조선의용대 조직 조례

조선의용대 통신

조선의용군 주둔지

조선의용대 기념관

조선의용대 표어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훈련장소

05385 서울시 강동구 올림픽로586 청운빌딩 4층
TEL : 02-472-9101    FAX : 02-391-5600    EMAIL : jsuyd100@jsuyd100.org
Copyright ⓒ 2019 의열단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twitter
05385 서울시 강동구 올림픽로586 청운빌딩 4층
TEL : 02-472-9101    FAX : 02-391-5600
EMAIL : jsuyd100@jsuyd100.org
Copyright ⓒ 2019 의열단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twitter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