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열단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 의열단
    • 의열단
    • 의열단원
    • 발자취
    • 조선의용대
  • 추진위원회
    • 인사말
    • 소개
  • 기념사업
    • 기념
    • 교육
    • 문화
    • 캠페인
  • 소식
    • 공지사항
    • 이 주의 의열단원
    • 보도자료
    • 사진첩
    • 동영상
  • 후원
  • Menu

의열단

  • 의열단
  • 추진위원회
  • 기념사업
  • 소식
  • 후원

발자취

  • 의열단
  • 의열단원
  • 발자취
  • 조선의용대


주요활동

○ 1920년 밀양 진양 폭탄 반입 사건

– 일본 고관에 대한 암살과 중요 관공서 폭파를 목적으로 반입

○ 1920년 부산경찰서 폭탄 투척의거

–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 폭탄 투척하여 서장 등 3명이 죽고 경찰서가 폭파 되었다. 열사는 투옥된 날부터 단식을 시작하여 9일 만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1920년 12월 27일 밀양경찰서 폭탄 투척의거

– 최수봉이 밀양경찰서 서장실에서 전 경찰이 서장 와타나베의 훈시를 듣고 있을 때 경찰서 창밖에서 폭탄 2개를 투척, 도피 중 현장에서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아 교수대에 올랐다.

○ 1922년 3월 28일 상해 황포탄 의거

– 일본육군대장 다나카 암살 목적으로 오성륜, 김익상, 이종암 단원이 차례로 사격과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1923년 1월 12일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 김상옥이 폭탄 투척 5일 후 후암동에서 일본 경찰과 총격전을 벌여 다무라 형사부장을 사살하고 수 명에게 총상을 입힌 후 탈출, 1월 22일 두 손에 권총을 들고 접전 3시간 반 끝에 서대문 경찰서 경부 구리다 외 수 명을 사살하고 총탄이 다하여 최후의 일발로 자결하였다.

○ 2차 암살파괴 계획

– 조선총독부, 일제관공서, 총독 사이토(齋藤實) 등 일제 고관을 암살할 목적으로 김시현, 황옥, 김재진, 권동산 등 4명이 폭탄 18개와 권총 5정을 가지고 텐진을 출발하였으나 김재진의 밀고로 체포 되었다.

○ 1924년 1월 5일 동경 니주바시 폭탄 투척의거

– 김지섭이 일왕 궁성을 파괴할 목적으로 동경 니주바시 사쿠라다몬(이중교, 앵전문)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1926년 12월 28일 동양척식주식회사 및 식산은행 폭탄투척 의거

– 나석주는 1926년 7월 하순 텐진에서 김창숙이 준 자금으로 권총과 폭탄을 구입하여 1926년 12월 28일 식산은행에 들어가 폭탄 1개를 던지고 다시 동양척식회사로 들어가 폭탄을 던지고 권총을 난사하여 수 명을 사살하고 경찰의 추격을 받자 권총으로 자결하였다.

○ 1935년 의열단을 공식적으로 해체, 난징에서 조선민족혁명당 창당
○ 1938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조선의용대 창설
○ 그 외 제3차 폭탄계획, 대구부호암살계획, 북경밀정암살사건, 이종암사건


사진자료


국내외 독립운동 유적지

의열단 단원들이 입학한 황포군관학교

의열단 윤세주 의사의 초장지

의열단 윤세주 의사의 묘

의열단 윤세주 의사의 묘

의열단 종로경찰서 의거지

의열단 강령비

의열단 종로경찰서 의거지

의열단 정율성의 묘

05385 서울시 강동구 올림픽로586 청운빌딩 4층
TEL : 02-472-9101    FAX : 02-391-5600    EMAIL : jsuyd100@jsuyd100.org
Copyright ⓒ 2019 의열단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twitter
05385 서울시 강동구 올림픽로586 청운빌딩 4층
TEL : 02-472-9101    FAX : 02-391-5600
EMAIL : jsuyd100@jsuyd100.org
Copyright ⓒ 2019 의열단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All rights reserved.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twitter
Scroll to top